최근 글로벌 경제의 중심에서 두 기업이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하나는 미국의 항공기 제조사 보잉(BOEING), 다른 하나는 유럽 최대의 제약회사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입니다. 두 기업 모두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미국 약값 규제 움직임에 직격탄을 맞으며 큰 하락세를 겪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보잉과 노보노디스크의 상황을 중심으로, 글로벌 무역 및 헬스케어 산업의 변화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 보잉: 관세 없는 기업이 왜 흔들릴까?
보잉은 미국 기업으로 미국 내 생산 시 관세 혜택을 받는 대표적인 기업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이후 주가가 10% 넘게 급락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 부품의 상당 부분이 중국산이기 때문입니다. 미국에서 최종 조립이 이뤄진다 해도, 핵심 부품은 중국에서 수입되기 때문에 중국산 부품에 대한 관세가 부과되며 생산비가 급등했습니다.
- 중국의 보복 관세로 인해 수출길도 막혔습니다. 부품 수입에 관세 → 항공기 수출에 또 관세. 이중 타격을 맞은 셈입니다.
💊 노보노디스크: 비만 치료제 강자, 미국 약값 규제의 희생양?
노보노디스크는 비만 치료제 ‘위고비(Wegovy)’와 ‘오젬픽(Ozempic)’으로 유명한 유럽 제약사입니다. 한때 시가총액이 삼성전자의 2배인 800조 원을 넘으며 유럽 1위 기업으로 등극했지만, 최근 주가가 고점 대비 58% 하락하며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 원인은 미국의 ‘약값’ 논쟁
- 미국 상원 청문회(2024년 9월 24일)에서 노보노디스크 CEO는 “미국에서 위고비 가격이 1,349달러인데, 독일에서는 140달러다”라는 비판을 받음.
- 트럼프 전 대통령은 관세로 규제하겠다는 입장. 유럽 제약사의 약값이 비싸면, 보조금 대신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강경 노선을 택했습니다.
💥 추가 악재: 경쟁사 일라이릴리의 부상
노보노디스크의 최대 경쟁사, 미국 제약사 ‘일라이릴리(Eli Lilly)’는 위고비의 대항마인 ‘잽바운드(Zepbound)’를 출시하며 시장을 빠르게 잠식 중입니다.
- 가격은 더 싸고
- 효과는 유사하거나 더 좋다는 평가
- 이미 처방 건수 8만 건 돌파
게다가 미국 회사라는 이점 덕분에 트럼프의 보호주의 흐름에 타깃이 되지 않는 위치입니다.
😥 보험정책도 발목: 비만 치료제, 공공 보험 거절
바이든 행정부는 위고비를 공공보험(메디케어/메디케이드)에 포함하려 했지만, 트럼프는 이를 거부. 당연히 미국 시장 비중이 60% 이상인 노보노디스크 입장에서는 큰 타격이 아닐 수 없습니다.
💡 희망은 있다: 직장 건강보험 시장
미국은 공공보험 외에 직장 건강보험(Employer-sponsored health insurance)이 주요한 보험체계입니다.
최근엔 기업들이 비만 치료제 비용을 복지 혜택으로 제공하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500인 이상 기업 중 44%,
- 2만 명 이상 대기업 중 64%가 비만 치료제를 건강보험으로 커버하고 있음.
미국에서 위고비 등 약값이 비싸기 때문에, 직원 채용 시 '위고비 지원 여부'가 조건이 되기도 합니다. 실제로 67%의 응답자는 위고비 비용 지원이 이직/잔류의 기준이 된다고 답변했다고 하죠.
🚨 그러나 새 갈등의 시작?
문제는 비용입니다.
직장 보험에서 직원 한 명당 월 650달러(약 90만 원)가 들어가며, 이는 기존 보험료의 30~40% 이상을 추가 부담하는 수준입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새로운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 비만 직원 채용 기피
- 비만 직원을 구조조정 대상에 우선 포함할 수도?
- 실제로 뉴욕의 한 전기회사는 직원들의 오젠픽 복지비용 증가로 전기요금 14% 인상을 발표했을 정도입니다.
🧐 결론: 유럽 제약사의 미래는?
노보노디스크는 단순한 가격 문제가 아니라 미국 정치 지형과 맞물린 타겟이 된 상황입니다.
유럽 제약사들이 미국 시장에서 공공보험 + 직장보험 시장 모두에서 난관을 겪고 있으며,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책이 현실화되면 관세 폭탄까지 맞을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비만 치료제의 수요는 폭발적이며, 직장 보험 시장 확장과 신약 개발에 따라 다시 반등의 기회도 남아 있는 상태입니다.
'사회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의 날 독립의 의지를 세운 역사적 순간 (0) | 2025.04.11 |
---|---|
주식 버블 뒤에 오는 원자재 슈퍼사이클, 지금이 기회일까? (1) | 2025.04.10 |
🌍 글로벌 공급망 변화, 한국 정부의 대응 전략 (2) | 2025.04.09 |
스타트업 육성 정책,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려면? 🚀 (0) | 2025.04.09 |
세계 최고 과학 유튜브 채널이 말하는 "한국은 끝났다"…진짜일까? (1) | 2025.04.08 |